ART CAPITAL 2025 - 수채화 드로잉 페어
한국 대표단
2025년, Art Capital의 국립 살롱전은 역사상 새로운 단계를 맞이하며 리노베이션된 그랑팔레에서 새롭게 펼쳐집니다.
전 세계 예술사의 중심에 자리 잡은 이 행사는 세계 각국의 대표단이 참가하고자 갈망하는 소중한 보물로 여겨집니다.
그 중에서도 '살롱 드쌍 페인트르 아 로(수채화 드로잉 페어)'의 한국 대표단은 가장 오래되고 대표적인 그룹 중 하나로, 국제 미술계에서 Art Capital이 지니는 영향력을 잘 보여줍니다.
1954년에 처음 시작된 수채화 드로잉 살롱은 파리 예술계의 보조적이고 실험적인 일부로 시작되었으나, 시간이 흐르며 이 매체만의 표현 공간을 확보하고 그에 걸맞은 예술적 위상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수채화라는 기술 자체가 프랑스 회화 전통에서는 다소 주변적 위치였으나, 끊임없는 실험과 국제적 교류를 통해 그 위상은 점차 확장되었습니다.
특히 최근 수십 년 동안,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에서 수채화의 위상은 더욱 높아졌으며, 이는 중국, 한국, 일본 등지의 예술가들이 파리로 진출하게 되는 주요 동기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 대표단의 작품은 동양적 감성과 서구적 테크닉의 융합을 통해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한국 대표단은 20세기 중반부터 수채화에 뿌리를 둔 작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랑스에서 유학하며 다양한 표현 기법을 익히고 이를 자기화한 뒤 한국에 돌아가 전파하거나, 프랑스에 정착한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이번 대표 작가 중 한 명인 전명자는 전통 동양화 기법과 현대적 표현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양식으로 국제 미술계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이는 한국 수채화가 세계 미술계에서 차지하는 새로운 위상을 잘 보여줍니다.
이 대표단의 작품들은 단순한 전통 표현을 넘어서, 동서양의 감각이 교차하고 상호 이해를 이끌어내는 깊이 있는 감성의 공유를 지향합니다. 유럽의 작가들도 이러한 교류를 통해 자극을 받고 있으며, 이는 예술이 가진 본질적 역할인 ‘소통’과 ‘공감’을 새삼 일깨워줍니다.
— 티보 조셋(Thibaud Josset)
---
작품 소개 (왼쪽 페이지 아래부터 오른쪽 페이지까지):
CHOI Yoon Young, Sea of Korea (한국의 바다),
한국 한지에 사진/아크릴, 65.2 x 53 cm
KIM Kee Hee, The Child Embracing a Fireball (불덩이를 안은 아이),
수채화, 77 x 58 cm
PARK Han Byul, Mitosis (세포분열),
수채화 및 파스텔, 53 x 45.5 cm
JUN Myung Ja, Over the Aurora (오로라 위로),
수채화, 116.7 x 91 cm
OH Sung De, Blue Stump (푸른 그루터기),
수채화, 65 x 45 cm
JO Hyang Sook, To Find Lost Time - Happy Memories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행복한 기억),
동양화, 60 x 90 cm
KIM Do Hee, Beyond My Mind (내 마음 너머로),
수채화 및 파스텔, 53 x 72.7 cm
CHOI Goo Ja, Nature-Coexistence (자연과 공존),
수채화, 53 x 45.5 cm
---
전시 일정
2025년 2월 19일 ~ 22일
살롱 드쌍 페인트르 아 로
그랑팔레, 파리
Avenue Winston Churchill, 75008 Par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