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i Yoon Young
작가 노트 자연은 인간보다 앞서 존재하는 가장 근원적인 언어입니다. 저는 그 언어를 읽고, 듣고, 다시 그려내며 인간과 자연 사이의 섬세한 감응을 탐색합니다. 단순한 재현이나 설명이 아닌, 본질과 감각, 그리고 비물질성에 다가가기 위한 여정입니다. 저의 작업은 대상의 외형 너머에 있는 순수한 감각의 근원을 추적합니다. 실용성과 목적을 넘어선 시선으로 자연과 교감하고자 하며, 그것은 때로 나뭇가지를 치우고 숲 속으로 들어서는 일처럼 조용한 단호함을 요구합니다. 회화적 매체로 선택한 한지 위 수채화는 전통성과 유연성, 그리고 물성에 대한 존중을 담고 있습니다. 한지는 물과 색, 시간과 공간을 머금으며, 스스로 이야기하는 듯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지요. 저는 그 종이 위에서 가능한 한 억압 없이, 자연의 리듬과 고유한 결을 따릅니다. 예술은 저에게, 고요한 자유입니다. 형태와 상징을 초월하여, 감정과 사유가 머무는 곳. 그곳에서 저는 관람자와의 조우를 꿈꿉니다. 강요하지 않고, 그러나 깊은 여운으로 남는 감동을 전하고 싶습니다.
+ more
2025.06.01 - 2025.06.30
Choi Yoon Young
작가의 성장은 세상을 보는 눈과 사물을 대하는 눈이 달라졌다는 것을 뜻한다. 그녀는 예술의 경계에서 자연을 아름답게 표현하고 있다. 특히 소재의 유동성, 그 사이 생긴 빈 공간들에서 만들어지는 작품 제작 과정과 움직임. 이것을 이용하여 아름답게 자연이 살아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작가가 현실을 모방하려는 욕구가 아니라 형태 자체를 나타내려고 하는 시도이며, 마음의 진실을 말한다. 이를 통해 오늘날 작가가 가진 조형 예술 표현의 신비로운 확장성을 볼 수 있다. 작가의 창의성은 남과 다르게 자신만의 색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흔히 ‘본다’는 말을 쓰는데 그 말의 참뜻은 막연하게 대상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분석, 해석해서 작가 나름대로 재창조 작업을 하는 과정을 말한다. ‘표현’이라는 적극적인 태도가 더해져 작가의 창조 행위는 완결되는 것이다. 작가 최윤영의 작품은 그가 선택하고 바라본 자연을 그의 방법에 의해서 표현한 그의 세계이다. 자연을 긍정하고 그 바탕으로 작품이라는 하나의 세계를 실현한다. 주관에 치우치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객관적인 진실을 찾아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보편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한다. 한국 자연의 신비로운 주제 변화는 매우 다양하게 표현되었는데, 작가가 주변에 전개되고 있는 사물에 대해 깊은 애정으로 관찰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지’ 예술의 원천이 되는 것은 작가의 인생 그 자체, 흘러가는 시간과 더불어 익어가는 최윤영 작가의 인생의 매 순간 내려지는 중간 결산이다. 부드럽게 재료를 포용하는 한지는 작가의 달라지는 양상을 잘 표현하는 수단이 된다. 끊임없는 노력으로 대상을 관찰하고 재질을 긍정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최윤영 작가의 미래를 보다 풍성하게 만들 것이다. 최윤영 작가는 현재 Paris 세계적인 Art Capital, Salon des Dessin et de La Peinture À L'EAU 에 참여하는 작가로, 화단에서 왕성한 활동을 통해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가진 예술가이다. 재불 작가 전명자
+ more
2024.12.18 - 2025.01.31
Jun Myung Ja
(2024/11/26) - 24년을 마무리하고 25년을 맞이하며 GP 갤러리에서 전명자 화백의 작품들과 함께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전시는 오묘하고 아름다운 푸른빛으로 관람객을 압도하는 매력을 보여주는 '오로라를 넘어서 (Over the Aurora)' 시리즈와 따스하고 다정한 매력을 보여주는 '자연의 조화(Homonie Naturelle)' 시리즈를 쉽게 만나기 어려운 전명자 화백의 프랑스 파리 시절 초기 작품들에서부터 최근 작품들까지 한 자리에서 소개해드리는 전시입니다. 푸른빛, 보랏빛을 담은 오로라는 전명자 화백이 아이슬란드에서 마주한 '천국과 극락의 아름다움에 내 자신이 녹아내리는 것 같은 느낌'을 화폭에 펼친 작품 시리즈들로 시공간을 초월하여 나를 감싸는 오로라빛에 휘감겨 관람하는 동안 잠시 서울을 떠나 아이슬란드를 여행하실 수 있습니다. 금빛으로 섬세하고 섬세하게 표현된 해바라기에게서는 화백님이 이탈리아 토스카나에서 작열하는 태양빛 아래 반짝이는 해바라기를 보고 느끼신 자연에의 환상감. 마을, 강, 밀밭 등이 우리가 지금 서있는 도시와 동떨어진 다른 세계의 아름다움을 초월적으로 느끼게합니다. 대자연에게서 얻으신 초월적인 감상에 인간의 생동감을 더하기 위해 화백님은 오케스트라, 피아노, 하프의 연주자들, 화목한 가족들, 연인들을 더하였고, 거기에 우리가 살아가는 배경으로 마을과 정원이 더해집니다. 더 나은 미래, 아름답고 멋지고 새로운 내일을 위해 힘을 얻을 수 있는 작품들입니다. 화백님의 최근 작품까지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이번에 GP 갤러리에서 준비했습니다. 아름답고 다정한 자연의 위로를 받으시고 변화하는 스스로를 느껴보세요.
+ more
2024.12.18 - 2025.01.31
1st Grand Gathering 위대한 모임
위대한 모임 전시 참여 작가 소개 권기자 김계희 김상열 신철 안진의 우상호 전명자 전종철 정대수 정해숙 최영욱 권기자 작가 액체의 질감을 닮은 물감, 오일을 고체로, 평면의 회화를 입체로 재구성하는 양감의 작품을 선보입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 이미지를 시각화하여 관객이 스스로 심상에 빠져들게 합니다. 김계희 작가 태양 주위를 도는 우리의 지구, 태양으로부터 에너지를 얻어 소생하는 자연, 태양을 바라보며 살아가는 해바라기 꽃, 그 외의 화사한 꽃들. 김계희 작가는 과거 우리 사람에게 에너지를 주는 곡물을 담아내던 나무로 만든 됫박을 액자삼아 입체적으로 '삶'이 가지는 생동감을 보여줍니다. 김상열 작가 해가 어스름히 떠오를 것 같은 새벽, 저 높은 고도에 올라 끝이 보이지 않는 산맥을 내려다보며 과거를 되짚고, 미래를 준비하는 마음을 김상열 작가의 작품을 보고 떠올릴 수 있습니다. 자연이 가지는 웅장함에 압도되어 마음을 깨끗하게 할 수 있습니다. 신철 작가 어린날, 하루가 모두 행복과 즐거움으로 가득찼던 시기를 연상케 하는 신철 작가의 작품들은 동화적이고 순수한 에너지가 가득합니다. 맑고 밝고 화창한 힘을 얻을 수 있습니다. 안진의 작가 격동하는 터치가 기본의 유화에 다양한 재료를 쌓아올려 만들어지는 작품들은 질감, 광택, 반짝임부터 시선을 사로잡아 보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느낌을 줍니다. 작가가 원하는 ''생명'을 드러내는 몸짓'이 무엇인지 드러납니다. 우상호 작가 한 권, 한 권마다 각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을 책들이 켜켜이 배치된 책장들이 과연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지 궁금해지는 우상호 작가의 작품들은 시각적으로 디테일한 덧칠과 기하학적 배치가 주는 즐거움도 놓치지 않습니다. 전명자 작가 시공간을 잊고 요정들의 나라, 혹은 천국에 온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오로라의 푸른 빛 속에서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들, 그를 감상하는 관객이 캔버스에 그려진 전명자 작가의 작품은 환상적인 이미지에 청각적인 요소까지 상상해볼 수 있습니다. 전종철 작가 '천상의 아우라'시리즈에서 관객이 눈으로 보지 못하는 입체적인 시간, 공간, 우주적인 에너지를 느낄 수 있도록 합니다. 관객은 보는 각도에 따라 작품이 가진 입체감, 다양한 소재에서 오는 질감의 차이 등을 통해 의식을 확장합니다. 정대수 작가 정대수 작가의 투박하고 거친 터치에서 관객은 정재되지 않은 자연, 환경, 상황 그대로의 감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마치 인상파의 작품을 보는 듯 과거 유럽의 어느 공간을 연상케도 합니다. 정해숙 작가 정해숙 작가는 간결한 선과 면, 색의 대비를 통해 관객이 이미 머릿 속에 존재하던 산, 새, 태양과 하늘의 모습을 볼 수 있게 합니다. 점차 한 곳을 보게 하고, 그 안에 하나의 이야기가 있을 것이라는 암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최영욱 작가 땅으로 부터 얻은 흙을 물과 함께 사람의 손으로 빚어 올려 불과 바람의 힘으로 만드는 한국의 달 항아리가 보여주는 우리 한국의 아름다움을 최영욱 작가는 참으로 사실적으로 보여줍니다. 단순해보이지만 복잡하고, 작품명 '카르마'처럼 심오한 뜻을 담고 있습니다.
+ more
2023.08.21 - 2023.11.30
Shin Cheol
신 철 申 哲 SHIN Cheol Education 원광대학교 미술학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졸업 Solo Exhibition 54회 (서울, 부산, 대구, 광주, LA, 휴스턴 등) Group Exhibition 800 여회 2022 꿈의 양평 (양평군립미술관, 양평) 2021 비움의 미학 (서호미술관, 남양주) 한국국제아트페어 KIAF전 (COEX, 서울) 2020 봄바람-휘휘호호 (신세계갤러리, 대구) 2019 HAPPINESS (리나갤러리, 서울) 가족정원 (양평군립미술관, 양평) 2018 창고에서 만나는 팝아트, 문화상품전 (담빛예술창고, 담양) Love holic (수지미술관, 남원) 무엇이 당신을 행복하게 해줄까요? (슈페리어갤러리, 서울) 2017 Honeymoon Story (롯데백화점 영등포점, 서울) 2016 백화만발 만화방창 (경기도 미술관, 안산) 2015 장밋빛 인생 (AK갤러리, 수원) 2014 예술, 봄을 만나다 (천안예술의전당, 천안) 2013 색채야 놀자! (서호미술관, 남양주) 한국국제아트페어, 화랑미술제 (COEX,서울) 외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위원 및 운영위원 역임 중학교 미술교과서 작품등재 (2018, 씨마스) 한국미술정예작가상 수상 (2016, 한국미술협회) 출판 2014 순수의 시절 (초록비책공방) 2018 노스탤지어 (초록비책공방) 주요 작품 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미술은행), 서울시립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 전북도립미술관, 양평군립미술관, 외교통상부, 서울 아산병원, 서울 삼성의료원, 강원대학교병원 암센터, 주 핀란드 한국대사관, 주 브라질 한국대사관, 주 불가리아 한국대사관, 서울고등검찰청, 수원지방검찰청 여주지청, 산업은행, 밀리토피아호텔 외
+ more
2023.06.01 - 2023.06.30
Jun Myung Ja
전 명 자 1966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1970 홍익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졸업 (석사) 논문 제목: 十九世紀 後半期의 프랑스 繪畵硏究 - 印象派에서 後期印象派까지 - 주요경력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역임 파리 아메리칸 아카데미 교수 역임 수상내역 2017 Comparaisons Art Capital – Dessin et peinture à l’eau dans le cadre d’ART CAPITAL 부문 PRIX TAYLOR 프랑스 테일러상 수상 2013 45대 신사임당상 수상 2012 Societe National des Beaux-Art (SNBA) - 은상 수상 2008 남송 국제아트페어 - 대상 수상 2007 Societe National des Beaux-Art (SNBA) - 영예 대상 수상 2005 Societe National des Beaux-Art (SNBA) - 금상 수상 1995 31회 깐느 국제 대상전 - 대상 수상 국내소장처 국립현충원, 서울시립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성남악기박물관, 성남아트센터, 남송미술관, 해든미술관, 창원 시청, (사)여성소비자연합회, 여성신문사, 세아그룹, ㈜블랙스톤리조트 이천, 형지그룹, 다이소그룹, 대웅제약, BC엔터프라이즈㈜, 종이박물관 그 외 다수 국외소장처 주중 대한민국 대사관 (북경, 중국), 주불 대한민국 대사관 (파리, 프랑스), 파리 KBS (프랑스), 에비앙시(市) 시청 (프랑스), 꼴롬보시(市) 시청 (프랑스), 꼴롬보시(市) 음악당 (프랑스), 세지필드시(市) 시청 (영국), 베라왕 사옥 (뉴욕), 샹파뉴 미술관 (프랑스) 그 외 다수 현재 한국 미술협회 회원, 프랑스 국립미술원 회원, 프랑스 테일러 파운데이션 회원, 대한민국 초대작가 회원, 기독교 미술협회 회원 개인전 2023 선화랑 초대전 (서울) -53 2022 아르떼마르코 갤러리 특별초대전 (부산, 롯데백화점) -52 2021 선화랑 초대전 (서울) -51 2020 선화랑 초대전 (서울) -50 N Gallery 초대전 (경기도) -49 2019 Gallery in Black Stone (이천) -48 2018 N Gallery 초대전 (경기도) -47 카이노스 갤러리 (서울) -46 2017 선화랑 초대전 (서울) -45 2016 윤아르떼 상하이 (상해, 중국) -44 카이노스 갤러리 (코엑스, 서울) -43 갤러리 作 (서울) -42 2015 今日美術館(금일미술관) 초대전 (북경, 중국) -41 선화랑 초대전 (서울) -40 2014 N Gallery 초대전 (경기도) -39 2013 선화랑 초대전 (서울) -38 2012 갤러리 作 (서울) -37 N Gallery 초대전 (경기도) -36 2011 선화랑 초대전 (서울) -35 2010 갤러리 Mouvances 초대전 (파리) -34 2009 성남아트센터 미술관 초대전 - 오로라와 자연의 조화전 (경기도) -33 갤러리 作 (서울) -32 N Gallery 초대전 (경기도) -31 2008 선화랑 초대전 (서울) -30 2007 Societe National des Beaux-Arts Hommage 영예대상 수상 특별초대전 (까루젤 루브르, 파리) -29 갤러리 Mouvances 초대전 (파리) -28 2006 선화랑 초대전 - 30회 개인전 기념전 (서울) -27 2005 현대아트 겔러리 초대전 (서울) -26 서종화랑 초대전 (서울) -25 2004 갤러리 율 초대전 (경기도) -24 2003 MAC 2000 초대전 (그랑빨레, 파리) -23 2002 C.H.U. DE BICETRE 화랑 초대전 (파리) -22 2001 박영덕 화랑 초대전 (서울) -21 2000 조지 메이슨 대학교 초대전 (워싱턴) -20 1999 백송 화랑 초대전 (서울) -19 1998 Chevy Chase 화랑 초대전 (워싱턴) -18 워싱턴 한국 문화원 초대전 (워싱턴) -17 Berlitz Champs Elysees 화랑 (파리) -16 아카데미 아트 갤러리 초대전 (파리) -15 1997 유나화랑 초대전 (서울) -14 Charlemagne 화랑 초대전 (파리) -13 프랑스 에비앙시청 Palais des Congres 초대전 (프랑스) -12 1996 유나화랑 초대전 (서울) -11 실비 갤러리 초대전 (파리) -10 스페니무어 세지필드시 초대전 (영국) -09 1995 아카데미 아트 갤러리 초대전 (파리) -08 1994 갤러리 신현대 초대전 (서울) -07 1992 인화랑 초대전 (서울) -06 1989 Simon's 갤러리 초대전 (샌프란시스코) -05 1984 Simon's 갤러리 초대전 (샌프란시스코) -04 1981 계원화랑 초대전 (서울) -03 1978 Louis Soulanges 갤러리 초대전 (파리) -02 1976 Louis Soulanges 갤러리 초대전 (파리) -01 단체전 2022 Comparaisons Art Capital (그랑빨레 파리) 2021 Salon 2021 SNBA (까루쎌 루브르박물관, 파리) Comparaisons Art Capital (그랑빨레 파리) 2020 Salon 2020 SNBA (까루쎌 루브르박물관, 파리) Comparaisons Art Capital (그랑빨레 파리) KIAF 2020 (국제아트페어, 서울 코엑스, 선화랑) 2019 Salon 2019 SNBA (까루쎌 루브르박물관, 파리) Comparaisons Art Capital (그랑빨레 파리) KIAF 2019 (국제아트페어, 서울 코엑스, 선화랑) 2018 프랑스의 거장 7인전 – Palmar & Co (쌈파뉴, 프랑스) Salon 2018 SNBA (까루쎌 루브르박물관, 파리) Comparaisons Art Capital (그랑빨레 파리) KIAF 2018 (국제아트페어, 서울 코엑스, 선화랑) 2017 Singapore Contemporary Art Fair (윤아르떼, 싱가포르) Salon 2017 SNBA (까루쎌 루브르박물관, 파리) Comparaisons Art Capital (그랑빨레 파리) 아틀리에Story – 현대미술의 거장 14인전 (예술의 전당, 서울) 프랑스의 거장 7인전 – Palmer & Co (쌈파뉴, 프랑스) KIAF 2017 (국제아트페어, 서울 코엑스, 선화랑 40주년 기념전) 2016 Salon 2016 SNBA (까루쎌 루브르박물관, 파리) Comparaisons (그랑빨레 파리) Asia Contemporary Art Show Hong Kong 2016 (아시아 현대미술전, 홍콩) KIAF 2016 (국제아트페어, 서울 코엑스, 선화랑) 7인 7색 홍익대학교 와우몽 50주년 기념전 2015 Salon 2015 SNBA (까루쎌 루브르박물관, 파리) Comparaisons (그랑빨레 파리) Asia Contemporary Art Show Hong Kong 2015 (아시아 현대미술전, 홍콩) KIAF 2015 (국제아트페어, 서울 코엑스, 선화랑) 창원시 한불 수교 130주년 기념전 (창원시청) 2014 Salon 2014 SNBA (까루쎌 루브르박물관, 파리) Comparaisons (그랑빨레 파리) KIAF 2014 (국제아트페어, 서울 코엑스, 선화랑) 홍익미술 루트전 (조선일보사) 2013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 아트페어 (선화랑, 서울) 홍콩 아시아 컨템포러리 아트쇼-갤러리 作 (홍콩) Salon 2013 SNBA (까루쎌 루브르박물관, 파리) Comparaisons (그랑빨레 파리) KIAF 2013 (국제아트페어, 서울 코엑스, 선화랑) 화랑미술제 (서울 코엑스, 선화랑) 현대미술 루트전 (조선일보 미술관, 서울) 2012 Salon 2012 SNBA (까루쎌 루브르박물관, 파리) Comparaisons (그랑빨레 파리) KIAF (국제아트페어, 서울 코엑스, 선화랑) 화랑미술제 (서울 코엑스, 선화랑) 현대미술 루트전 (조선일보 미술관, 서울) 여류화가 40주년 100호전 (예술의 전당, 서울) 여류화가 3인전 (유로 갤러리, 서울) 홍콩 아트페어 (갤러리 作, 서울) 한국 성화대전 (조선일보 미술관, 서울) 2011 화랑미술제 (서울 코엑스, 선화랑) KIAF (국제아트페어, 서울 코엑스, 선화랑) Comparaisons (그랑빨레 파리) Salon 2011 SNBA (까루쎌 루브르박물관, 파리) 현대미술 루트전 (예술의 전당, 서울) 여류화가전 (포스코 휘목 미술관) 2010 Korean Art Show in New York (뉴욕) 화랑미술제 (부산 벡스코, 선화랑) 서울 아트 페어 (서울 코엑스, 作화랑) 콜시카 깔비시청 초대전 (콜시카, 프랑스) 홍익 아트 페어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Comparaisons (그랑빨레 파리) Salon 2010 SNBA (까루쎌 루브르 파리) 2009 Comparaisons (그랑빨레 파리) 남송의 봄전 (남송미술관) 남송 국제아트페어 (성남아트센터 미술관) 서울 아트 페어 (서울 코엑스, 유로 갤러리) 화랑 미술제 선화랑 (부산 벡스코) Salon 2009 SNBA (까루쎌 루브르 파리) 한국 국제아트페어 선화랑 (코엑스 서울) 홍익 여류화가전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2008 Brive-La-Gaiuarde Chapelle Saint-Liberal (프랑스) CHAMALIERE Galerie dArt Contemporaim (프랑스) LORREZ-LE-BOCAGE Espace ARTEVIE (프랑스) 한불초대전 (파리) Salon 2008 SNBA (까루쎌 루브르) 존재-열정의 공간전 (겔러리 정) 여성현대미술 서정의 공간전 (성남아트센터 미술관) 남송의 봄전 (남송미술관) 한불작가전, 현대작가초대전 (N화랑) 한국구상대전 (예술의 전당) KIAF 선화랑 (코엑스) 남송 싸롱도돈느 국제아트페어 (성남아트센터 미술관) 화랑 미술제 선화랑 (부산 벡스코) 2007 Comparaisons (그랑빨레 파리) 싸롱 도돈느 (그랑빨레 파리) 남송 국제아트페어 (성남아트센터 미술관) 서울 아트페어 선화랑 (예술의 전당) 서울 오픈아트페어 유로겔러리 (코엑스) 한국 국제아트페어 선화랑 (코엑스) 여류화가전, 홍익전-다른 그리고 닮음전 (라메로화랑) 파리와의 랑데부전 (엠로리아 겔러리 서울) 2006 Salon 2006 SNBA (까루쎌 루브르 파리) Comparaisons (그랑빨레 파리) 선화랑 개관 30주년 초대전 (서울) 여류화가전, 홍익전-공간 그리고 여성전 (서울겔러리) 화랑미술제 선화랑 (예술의 전당) 여류화가 10인 쇼몽시 초대전 (프랑스 쇼몽) 작은 것이 아름답다전 (성남아트센터) 2005 Salon 2005 SNBA - 금상수상 (까루쌜 루브르 파리) 음악과 그림초대전 (가일미술관) 여류화가전, 홍익전 (서울시립미술관) 제18회 Salon de Printemps (프랑스 Vendee) 화랑미술제 서종겔러리 (예술의 전당) 한국미술의 오늘전 (남송미술관) 2004 Salon 2004 SNBA (까루쎌 루브르 파리) Arts en Capital Salon Comparaison (그랑빨레 파리) 서울아트페어 홍익전 (서울) 남송미술관 개관 초대전 (가평) 2003 Salon d'Automne (그랑빨레 파리) Salon 2003 SNBA (까루쎌 루브르 파리) 홍익전-한국의 미 모색전 (인사아트프라자) 여류화가전 (서울겔러리) 2002 MANIF전 (예술의 전당) Salon 2002 SNBA (까루쎌 루브르 파리) 여류화가전, 홍익전 (예술의 전당) 2001 Chicago Art Fair (시카고) 미술협회전 (예술의 전당) 여류화가전, 홍익전 (예술의 전당) 2000 아세아현대미술전 (도쿄) 미술협회전 (서울) 1997 아세아 현대미술전 (난칭) 홍익전 (서울) 미술협회전 (서울) 1996 재불 한인예술제 (파리) 1995 싸롱 그랑 에 쥔느 오쥬르디, 그랑빨레 (파리) 여류화가전, 홍익전 (예술의 전당) 르 싸롱 (그랑빨레 파리) 싸롱 도돈느 (그랑빨레 파리) 싸롱 앙데팡당 (그랑빨레 파리) 다양성의 공유 초대전 (갤러리 시몬) 경희대 미술 초대전 (예술의 전당) 아름다운 서울전 (시립미술관) 1993 홍익전 (예술의 전당) 여류화가회전 (예술의 전당) 르 싸롱 (그랑빨레 파리) 싸롱 도돈느 (그랑빨레 파리) 싸롱 앙데팡당 (그랑빨레 파리) 대한민국 종교초대전 (예술의 전당) 기독교미술가협회전 (서울갤러리) 한국미술협회전 (미술회관) 1992 여류화가전, 홍익전 (예술의 전당) 대한민국 종교초대전 (예술의 전당) 기독교미술가협회전 (서울갤러리) 한국미술협회전 (미술회관) 1991 한불작가전 (파리) 여류화가전, 홍익전 (예술의 전당) 대한민국 종교초대전 (예술의 전당) 기독교미술가협회전 (서울갤러리) 한국미술협회전 (미술회관) 1990 홍익전 (예술의 전당) 기독교미술가협회전 (서울갤러리) 한국미술협회전 (미술회관) 1988 한국미술협회전 (미술회관) 기독교미술가협회전 (서울갤러리) 1987 홍익전 (미술회관) 기독교미술가협회전 (서울갤러리) 1986 한불작가전 (파리) 기독교미술가협회전 (서울갤러리) 1985 한불작가전 (파리) 기독교미술가협회전 (서울갤러리) 여성근로회관 건립전 (새로나백화점) 여류화가전, 홍익전 (미술회관) 1984 제12회 여류화가회전 (미술회관) 목우회전 (국립미술관) 홍익전 (미술회관) 기독교 미술가 협회전 (서울갤러리) 1983 제11회 여류화가회전 (미술회관) 기독교 미술가 협회전 (서울갤러리) 홍익전 (미술회관) 목우회전 (국립미술관) 1982 여의도 미술관 초대10인전 (여의도 미술관) 기독교미술가협회전 (서울갤러리) 홍익전 (미술회관) 제10회 여류화가회전 (미술회관) 1981 제9회 여류화가회전 (미술회관) 현대미술회관 건립 초대전 (춘추화랑) 제30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국립현대미술관) CIVITAN 롯데화랑 초대전 (롯데화랑) 기독교미술가협회전 (서울갤러리) 1980 제8회 여류화가회전 (미술회관) 제16회 한국미술협회회원전 (미술회관) 대학교수전 (대전시민회관) 제29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전 (국립현대미술관) 1979 제28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전 (국립현대미술관) 제7회 여류화가회전 (미술회관) 세계 PATA총회 초대전 (세종대학) 1978 제27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국립현대미술관) 제14회 한국미술협회전 (미술회관) 제6회 여류화가회전 (미술회관) 1977 제13회 한국미술협회전 (현대미술관) 1977 제5회 여류화가회전 (미술회관) 여성근로회관 건립 초대전 (새로나백화점) 1976 제12회 한국미술협회전 (현대미술관) 제4회 여류화가회전 (미술회관) 원폭피해자 소품초대전 (미도파화랑) 제25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국립현대미술관) 1975 제3회 여류화가회전 (현대미술관) 제3회 한일미술교류초대전 (일본 오사카 예술대학교) 1974 제2회 여류화가회전 (현대미술관) 스케치 초대전 (미도파화랑) 1973 한국여류화가회전 (신세계화랑) 1972 제8회 한국미술협회 회원전 (국립현대미술관) 1967 제16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국립현대미술관) 1964 제13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국립현대미술관) 1963 제1회 목우회전(국립현대미술관) 제12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국립현대미술관) 1962 제11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국립현대미술관)
+ more
2023.02.13 -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