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진의 Ahn Jinee
꽃을 그리는 마음

김복기(아트인컬처 대표, 경기대 교수)

1.
안진의는 ‘꽃의 화가’다. 그의 작가 이력은 꽃 그림의 이력과 겹친다. 화력(畵歷)이 온전히 ‘화력(花歷)’인 셈이다. 그 역정이 물경 30년에 이른다. 이 세월에 그는 왕양한 꽃의 미술사에서 자기화의 물꼬를 트고, 조형적 천착의 길을 걸어왔다. 이른바 ‘한국화’ 혹은 채색화라는 전통에서 창작의 젖줄을 이어 다지면서도, 그 전통의 틀에 결코 자신을 가두지 않고 현대적 변용이라는 시대의 과제에 대응해왔다. 전통의 현대화라 해도 좋고, 동서 미학의 혼성(hybrid)이라 해도 좋으리라. 나는 안진의의 꽃 그림을 그저 담담하게 컨템퍼러리아트라 부르고 싶다.
안진의의 꽃은 자기 정체성이 분명하다. 한국 미술계에서 꽃을 그리는 작가는 많고 많지만, 이만큼 조형적 힘과 정신을 보여주는 작품은 흔치 않다. 꽃 그림이라면 우리는 다소곳한 자태의 정물화나 가녀린 감성의 화조화를 떠올릴 것이다. 잘 알려져 있듯이, 서양에서는 정물화보다 인물화 중심의 역사화가 상위 장르에 있었고, 동양에서는 화조화보다 산수화가 우위의 화목(畵目)이었다. 그런데, 안진의의 꽃은 다르다. 작품의 형식과 내용에서 ‘소(小) 장르’의 한계를 훌쩍 뛰어넘어 ‘대(大) 장르’의 위용을 한껏 떨치고 있다. 꽃으로 그리는 ‘대화면’이요 ‘대서사’다.

2.
안진의의 꽃은 그냥 꽃이 아니다. 꽃을 뛰어넘은 꽃이다. 2010년을 전후로 안진의는 자신의 작품을 더욱 탄탄하게 양식화한 <꽃의 시간> 연작에 이르렀다. 이제 꽃은 ‘살아 있는 생명’의 메타포라 표현해야 옳다. 표현의 양식 또한 펄펄 살아있다. 꽃 그림의 감동에는 다양한 조형적 배려가 깔려 있다. 섬세하고 정교한 세필, 환상의 분위기를 자아내는 빛나는 석채, 넘실대는 음악적 율동, 전통 색지의 콜라주, 과감한 형상의 클로즈업, 올오버(all-over)의 추상적 구성…. 꽃의 대축제! 꽃의 천국이 아닌가.
안진의는 꽃의 외양뿐만 아니라 꽃의 마음을 그린다. 말하자면 ‘정신으로서의 꽃’을 그린다. 여기에다 꽃을 감싸는 빛과 공기의 흐름까지 표현해낸다. 필시, 살아 있는 모든 것은 움직인다. 필시, 살아 있는 모든 것은 사라진다. 꽃은 바람결에 흩날리거나 해저의 수초처럼 흔들리고, 꽃은 별이 빛나는 밤에도 조용히 숨을 내쉰다. 화면을 가로지르며 비상하는 몇 가닥의 필선이나 미끄러지듯 퍼지는 마티에르는 유유히 흐르는 시간의 흐름을 암시하는 장치다. 정중동의 내밀한 찰나, 그 나지막한 숨결까지 붙잡는다.
안진의는 꽃 그림에 시간의 개념을 덧붙였다. 시간이란 존재의 또 다른 이름이 아닌가. 생성과 소멸, 탄생과 죽음, 그 숙명의 순환! 이 대목에서 안진의의 꽃 그림은 화려한 장식적 외양을 넘어 깊고 넓은 존재론의 물음을 던진다. 그는 말한다. “육체가 아닌 영혼의 시간, 영겁의 시간, 찰나의 향기를 고스란히 안아 화폭에 놓았다.” 그렇다. 우리는 안진의의 꽃의 의미를 더 확장해야 한다. 안진의는 꽃이라는 프리즘으로 세상을 본다. 꽃이라는 밭에 세상을 심는다. 이것이 바로 안진의 예술의 지표다. 이미 여러 논자가 지적한 바 있다. “순간을 영원으로 포착하고, 침묵을 발언으로 탄생시키며…, 시간의 저편을 건너간 것들에게 생명의 빛깔을 입힌다.”(김민웅) “존재하는 모든 것들에서 변신과 포용의 가능성을 바라보는”(정여울) “우리네 삶의 비의 같은…, 이 모든 것을 넘어선 ‘조화롭지만 갈 수 없는 나라’에 대한 갈망과 희원…”(김창식) 이렇듯, 안진의의 꽃 그림에는 삶의 본질에서 진실(혹은 진리)을 쫓는 예술가의 숭고한 ‘자기 정화’ 의식이 깔려 있다.
안진의의 꽃 그림은 크기와 관계없이 하나의 꽃밭, 정원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정원은 동양 산수화의 도원경, 서양 풍경화의 아르카디아에 비유할 수 있다. 어느 쪽이든, 흘러가버린 시간에 대한 애틋한 향수, 다가올 미래의 벅찬 희망을 안고 있다. 이 지점에 이르면, 안진의의 꽃 그림은 자연이라는 말로 치환해도 좋을 것이다. “예술작품은 대다수가 감축 모형이다.”(레비스트로스) 안진의는 자연을 꽃으로 감축했다. 그 시간의 차원까지 감축했다. 예술작품이란 결국 하나의 소우주(microcosmos)가 아니던가. 꽃에서 자연과 우주에 이르는 도정. 화가 안진의는 이렇게 외치고 있는지도 모른다. “내가 꽃이다!” “내가 자연이다!” 이것이 바로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이니라.

3.
나는 컨템퍼러리아트의 문맥에서 안진의의 꽃 그림을 해석하고 싶다. 그의 또 다른 작품 시리즈를 주목한다.
안진의는 소소한 일상에서 마주하는 전구, 새, 의자, 종이배 같은 소재에 꽃을 덧입힌 일련의 작품을 제작한다. 자연과 일상, 자연과 문명의 자연스러운 만남이다. 특히 백열전구와 꽃의 조합이 흥미롭다. ‘알’이라는 형상 자체가 모든 사물의 단자(monad)에 가깝다. 생명을 잉태하는 여성성을 띠고 있다. 열쇠 모양의 전구 스위치는 수수께끼 같은 미지 세계의 문을 연다. 또 어둠을 밝히는 ‘빛’도 희망의 메시지, 타자와의 소통, 더 나아가 숭엄한 종교의 후광(aura)으로까지 확장할 수 있다. 종이배나 의자에도 무구한 동심부터 철학적 함의까지 담는다. 꽃 그림이 비근한 일상의 모티프와 만나 다양한 의미 층을 일궈낸다.
눈길을 사로잡는 작품은 역시 대작이다. 구체적인 꽃의 이미지는 점차 기호화되어 추상적인 화면으로 치닫고 있다. 추상표현주의의 동양화적 번안이라고 해야 할까, 아니면 동양화의 추상표현주의적 전환이라고 해야 할까. 이 대작은 야생의 밀림이나 깊은 바다로 한없이 빨려 들어가는 듯한 화면의 울림이 가히 일품이다. 우연과 필연, 밝음과 어둠, 부분과 전체, 감성과 지성…, 안진의는 이 대립의 조형 언어를 균형과 조화의 화면으로 몰아친다. 클레멘트 그린버그(Clement Greenberg)식으로 말하면, 다이내믹한 ‘시각적 환영(optical illusion)’이다. 안진의는 이 폭발적인 시각 형식에 자연의 힘찬 에너지를 흠씬 녹여낸다. 삼라만상이 펼쳐내는 생명의 파노라마!
이즈음 안진의가 대규모 개인전을 열었다. 각각의 꽃 그림을 전시장에서 (재)맥락화하는 다양한 연출을 시도하고 있다. 공간 설치, 관객과의 워크숍 등으로 안진의의 꽃 그림 세계를 공감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자리다. ‘전시=작품’이라는 컨템퍼러리아트 최전선의 콘셉트로 꽃 세상을 활짝 연다. 안진의의 꽃은 또 피어난다.


The Why of Painting Flowers

Kim Boggi(Art in Culture Editorial Director, KyonggiUniversity Professor)

1.
Ahn Jinee is a painter of flowers. In fact, the arc of Ahn’s career traces exactly the arc of her flower paintings overtime; and the power of these paintings, in turn, is the power of the flowers within them — a power developed over a journey that now spans close to 30 years. Over this period, Ahn has effectively opened the sluice gates of the vast sea of flowers across art history, charting new courses of formative inquiry. Even as she takes her place in the creative lineage and tradition of so-called “Korean paintings,” she has always resisted defining herself solely by this limiting framework, responding instead to the more modern summons for contemporary variation. One might call this a modernization of tradition, or even the aesthetic hybridization of East and West. I myself would simply call the flower paintings of Ahn Jinee “contemporary art.”

Ahn’s flowers know exactly what they are. And though artists who paint flowers may be a dime a dozen in the Korean art world, works of this caliber — this strength of form and spirit — remain rare. When we hear“flower painting,” we tend to picture the modest figure of a still-life, or the delicately harmonious sensibility of a traditional hwajohwa (flower and bird painting). Indeed, as we all know, historical works that center figurative painting have long been considered superior to still lifes in the West, just as sansuhwa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s) have been considered a cut above hwajohwa in the East. Ahn Jinee’s flowers, however, break with tradition in this way as well. In form and in content, these works far surpass the scope of any ostensibly ‘minor’genre, showcasing instead the kind of dignified splendor reserved for the ‘major’ leagues. This is art on a grand scale: epic narrative, written in flowers.

2.
Ahn Jinee’s flowers are more than just flowers. These are flowers that transcend flowers. Around 2010, Ahn Jinee further established the singular conventions of her work with a new series titled “The Time of Flowers.”This series, in turn, marks the point from which Ahn’s flowers must be understood as metaphors for “a lived life,”characterized by modalities of expression so vital themselves that they seem almost to be coming off the canvas. In the emotion inspired by these flower paintings is a diverse array of formal consideration. The elaborately detailed slender brush strokes; the fantastic atmosphere of vibrant, shining colors; the undulating, almost musical rhythms; the overlapping collage of traditional colored paper; the bold, close-up forms d overall abstract composition… all coming together in a grand festival of flowers! A flower heaven, even, if you will.

Ahn Jinee captures the external form of the flower, yes, but she also — somehow — captures its soul. What she paints, in other words, is “consciousness in flower form,” along with the light that embraces it and the air that flows all around. Without exception, all that lives must also move. Flowers flutter in the breeze or slowly wave, liquid, like seaweed underwater; flowers breathe quietly in and out even under a clear and starry night sky. Both the scattered pencil strokes that take diagonal flight, soaring across the canvas, and the expansive matière that seems to slide across the painting’s surface serve as mechanisms that mark the passage of time. A stolen instant of almost imperceptible movement amidst total stillness, capturing even that low, quiet breath.

Ahn never fails to apply the concept of time to these flower paintings. And “time,” after all, is just another name for “existence.” Creation and extinction, birth and death — that cycle of fate! In this regard, Ahn Jinee’s flower paintings far surpass the promise of their showy ornamental exterior, posing existential questions that are as broad as they are deep. In the artist’s own words: “Time not of the body but of the soul, time everlasting, the scent of a passing instant: all this has been embraced, intact, and brought onto the canvas.” And so it has. We must expand ever further the meaning of Ahn Jinee’s flowers. Ahn meets the world through a prism of flowers; in a field called “Flowers,” she plants the world. This, precisely this, is what sets this artist apart from the rest.

Many critics agree. “A passing moment captured for eternity, silence reborn as speech… (Ahn Jinee) bestows the light of new life on that which has already crossed to the other shore of time itself.” (Kim Minwoong) “(Ahn)...sees the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and tolerance in all existing things…” (Jeong Yeo Ul) “In keeping with the tragic meaning that under girds all our lives… there is here above all a yearning, a hunger for ‘a land harmonious but unreachable’...” (Kim Changsik) Indeed, Ahn Jinee’s flower paintings are defined by a consciousness of “self purification,” that most lofty artistic pursuit of life’s most authentic truth.

Regardless of size, each of Ahn’s flower paintings stands as both field and garden in its own right. An apt comparison might well be drawn to the traditional landscapes of the East, or even the idyllic Arcadian landscapes of the West. Whether we look to the East or the West, however, there is always that aching nostalgia for times long past, not to mention that hopeful but daunting future waiting in the wings. And once one has reached this point, one might even go so far as to say that the flower paintings of Ahn Jinee serve as a stand-in for nature itself. “Most works of art are small-scale replicas.” (Levi-Strauss) Ahn has successfully reduced nature to the scale of the flower. More than that, she has somehow managed to reduce the accompanying dimension of time, as well. A work of art, after all, can be understood as a microcosmos onto itself; here we are shown a path from flower to nature and on to the cosmos. Perhaps the artist is, in fact, shouting: “I Am Flower!” “I Am Nature!”Such would be the realm of true oneness.

3.
I am most interested in approaching the flower paintings of Ahn Jinee through the lens of contemporary art. So let us turn, now, to yet another series by the artist. More recently, Ahn has produced a series of works in which ordinary objects encountered in daily life — a light bulb, a bird, a chair, a folded paper sailboat — are all coated in flowers. A natural meeting between nature and daily life, nature and civilization. The combination of the incandescent bulb and the flower is particularly compelling. The form of the ‘egg,’ after all, is something close to that final indivisible unit, or monad, of all things; it is that which is woman, capable of conceiving life itself. A key-shaped light switch unlocks a door to an unknown world — a riddle. Meanwhile, a “light” that illuminates the darkness is a message of home, of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and can even be expanded to include the aura of solemn religious faith. A paper sailboat or ordinary chair can represent everything from childlike innocence to philosophical meaning. These flowers come together with familiar motifs of the everyday to generate various layers of meaning.

The work in the exhibition that most draws the eye, of course, has been executed on a grand scale. Here, the specificity of the flower has gradually become symbolic, with the overall canvas approaching the realm of the abstract. One might see in it a traditionally Eastern adaptation of western abstract expressionism — or rather, perhaps, an abstract expressionist flair applied to traditional Eastern hwajohwa. Either way, this masterpiece is characterized by a resonance that seems almost to pull us into the canvas, into wild jungles and deep waters. Chance and fate, light and dark, part and whole, emotion and intellect: Ahn drives the formative language of confrontation and juxtaposition onto a canvas characterized by balance and harmony. To borrow a phrase from Clement Greenberg, what we have here is a dynamic “optical illusion.” Somehow, Ahn Jinee has managed to imbue this explosive visual form with the powerful energy of nature itself: a panorama of life, unfurled for the whole of creation!

It is from this peak that Ahn Jinee has come to open this, a large-scale solo exhibition, a show that seeks to (re)contextualize each flower painting within the exhibition space through a range of different display approaches. Installation pieces and workshops with gallery visitors, for example, are two ways that the public is being offered amore synesthetic experience of Ahn’s world of flower paintings. The concept of exhibition as work, so frequently met these days on the front lines of contemporary art, here throws open the doors to a whole world of flowers. And as ever, we see that Ahn Jinee’s flowers are blooming anew, yet again.


[작가약력]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교수, 대한민국미술대전 초대작가

학력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및 동대학원 졸업
홍익대학교 대학원 색채전공 미술학 박사

수 상
2016 제36회 한국예술평론가협회 심사위원선정 특별예술가상 (한국예술평론가협회)
2013 제10회 미술세계작가상-평면부문 (주-미술세계)
2011 제5회 미술인상-청년작가상 (사-한국미술협회)
2005 제11회 마니프 서울국제아트페어 우수작가상 (마니프조직위원회)
1994 제13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우수상 (국립현대미술관)
제4회 MBC 미술대전 특선 (예술의 전당)
1993 제12회 대한민국미술대전 특선 (예술의 전당)
1992 제15회 중앙미술대전 특선 (호암갤러리) 외 다수

개인전(51회)
2021 ‘꽃의시간 안진의展’ (GS칼텍스 예울마루),
2021 ‘꽃의시간 안진의展’ (고양어울림누리 어울림미술관)外

주요단체전(300여회)
2021 「예술의 향기로부터, 쉼」 展 (정읍시립미술관 )
2021 현대미술의 시선 (양평군립현대미술관) 외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성곡 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 포스코 미술관, 경인여자전문대학, 호서대학교, 신촌연세병원, 제주 휘슬 호텔, (주)크라운 제과, 법무법인 태평양, 서울지방경찰청, 중부국세청, 주일본 센다이 한국총영사관, 주아랍에미리트 한국대사관, 주한 아랍에미리트 대사관, 청와대 外

저서
<당신의 오늘은 무슨색입니까>, 단독저자, 홍익출판사, 2015
<색채론>, 공동저자, 한국색채디자인개발원, 2012 외


[Artist CV]
Professor Dept. of Oriental Painting College of Fine Arts Hongik University
Korean Fine Art Association [KFAA]

Ph.D. in fine art, majoring Color Theory,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M. F. A. Oriental Painting. Graduate School of Fine Art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B. F. A. Oriental Painting. College of Fine Art,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AWARD

2016 Special Artist Award Selected by Judges (The Korean Association of Arts Critics), Seoul, Korea
2013 Winners of Misulsegye award (Misulsegye), Seoul Korea
2011 Artist Award- Young Artist of the Year Award (Korean Fine Art Association)
2005 Superiority Selection Award, MANIF Art Fair, Seoul, Korea
1994 Superiority Selection Award, the 13th Korea Fine Arts Award
(Korea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Special Prize, the 4th MBC Fine Arts Awards (Seoul Arts Center), Korea
1993 Special Prize, the 12th Korea Fine Arts Awards (Seoul Arts Center), Korea
1992 Special Prize, the 15th Joong-Ang Biennale (Ho-Am Gallery), Seoul, Korea etc.

SOLO EXHIBITIONS (51 times)
2021 Goyang Oulim Nuri Art Center, Goyang, Korea
2021 GS CALTEX invitational exhibition. Yeosu, Korea etc.

GROUP EXHIBITIONS (More than 300 times)
2021 The Gaze of Contemporary ART (YANGPYEONG ART MUSEUM)
2021 Rest from the scent of art (JEONGEUP MUSEUM OF ART) etc.

PUBLIC COLLECTIONS

Korea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Sungkok Art Museum, Korea
Gwangju Museum of Art, Korea
Posco Art Museum, Korea
110 Jeju WHISTLE hotel
Chungbu Regional Tax Office, Korea
Hong-Ik University,
Shinchon Younsei Hospital, Korea
KyongーIn Women's College, Korea
Hoseo University, Korea
Crown Co, Korea
BKL IP Group, Korea
Kim & Chang Law Firm, Korea
Supreme Prosecution Serves, Korea
The General Counsel of Korea in Sendai, Japan.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UAE.
Embassy of the UAE in the Republic of Korea.
Office of the Korean President, Korea etc.

Books published
sole author, Hongik Publishing Co. 2015
, co-author, Korea Color Design Institute. 2012

Exhibitions

Artworks